제 25(당)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4(전)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디엠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제 25(당) 기말제 24(전) 기말
자 산 | ||||
Ⅰ. 유동자산 | 856,627,559 | 1,173,910,873 | ||
(1) 당좌자산 | 268,554,824 | 748,855,925 | ||
현금및현금성자산 (주석3,8) | 85,030,402 | 150,130,103 | ||
매출채권 (주석8) | 352,692,669 | 1,278,356,892 | ||
대손충당금 | (237,160,435) | (751,033,280) | ||
미수금 (주석17) | 52,000,000 | 52,000,000 | ||
선급금 | 2,070,000 | 2,382,000 | ||
선급비용 | 13,919,348 | 16,997,530 | ||
당기법인세자산 | 2,840 | 22,680 | ||
(2) 재고자산 | 588,072,735 | 425,054,948 | ||
원재료 | 339,778,242 | 360,727,518 | ||
원재료평가충당금 | (89,335,470) | (87,264,157) | ||
재공품 | 538,833,734 | 324,925,643 | ||
재공품평가충당금 | (201,203,771) | (173,334,056) | ||
Ⅱ. 비유동자산 | 11,528,408,111 | 11,722,689,819 | ||
(1) 투자자산 | 368,589,759 | 340,119,575 | ||
장기금융상품 | 368,589,759 | 340,119,575 | ||
(2) 유형자산 (주석4,6) | 10,912,507,347 | 11,134,416,899 | ||
토지 | 8,954,557,336 | 8,954,557,336 | ||
건물 | 4,009,158,093 | 4,009,158,093 | ||
감가상각누계액 | (2,069,687,560) | (1,869,229,655) | ||
구축물 | 37,500,000 | 37,500,000 | ||
감가상각누계액 | (35,469,333) | (33,949,333) | ||
기계장치 | 1,165,220,326 | 1,165,220,326 | ||
감가상각누계액 | (1,156,272,237) | (1,140,376,024) | ||
차량운반구 | 144,463,850 | 205,826,332 | ||
감가상각누계액 | (144,460,850) | (205,822,332) | ||
공구와기구 | 20,409,080 | 20,409,080 | ||
감가상각누계액 | (20,402,080) | (20,402,080) | ||
비품 | 133,400,498 | 133,400,498 | ||
감가상각누계액 | (125,909,776) | (121,875,342) | ||
(3) 무형자산 (주석5) | 1,640,552 | 2,482,892 | ||
소프트웨어 | 1,640,552 | 2,482,892 | ||
(4) 기타비유동자산 | 245,670,453 | 245,670,453 | ||
보증금 (주석17) | 245,670,453 | 245,670,453 | ||
자 산 총 계 | 12,385,035,670 | 12,896,600,692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7,268,728,240 | 7,724,865,170 | ||
매입채무 (주석8,9) | 117,720,286 | 295,345,660 | ||
미지급금 (주석9) | 140,686,439 | 196,077,456 | ||
예수금 | 17,251,826 | 20,952,800 | ||
부가세예수금 | 39,238,385 | 28,611,942 | ||
선수금 | 75,955,947 | 121,972,026 | ||
단기차입금 (주석6,7,16) | 6,800,000,000 | 7,000,000,000 | ||
미지급비용 | 77,875,357 | 61,905,286 | ||
Ⅱ. 비유동부채 | 921,511,657 | 525,258,156 | ||
임대보증금 (주석17) | 723,500,000 | 323,500,000 | ||
퇴직급여충당금 (주석9) | 700,685,430 | 652,525,120 | ||
퇴직연금운용자산 (주석9) | (502,673,773) | (450,766,964) | ||
부 채 총 계 | 8,190,239,897 | 8,250,123,326 | ||
자 본 | ||||
Ⅰ. 자본금 (주석1,12) | 653,704,500 | 6,537,045,000 | ||
보통주자본금 | 653,704,500 | 6,537,045,000 | ||
Ⅱ. 자본잉여금 | 5,918,582,393 | 35,241,893 | ||
기타자본잉여금 | 5,883,340,500 | 35,241,893 | ||
감자차익 | 35,241,893 | - | ||
Ⅲ. 자본조정 | (957,168,000) | (957,168,000) | ||
자기주식 | (957,168,000) | (957,168,000) | ||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 (1,420,323,120) | (968,641,527) | ||
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주석13) | (1,420,323,120) | (968,641,527) | ||
자 본 총 계 | 4,194,795,773 | 4,646,477,366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12,385,035,670 | 12,896,600,692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제 25(당)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4(전)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디엠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제 25(당) 기제 24(전) 기
Ⅰ. 매출액 | 3,073,932,878 | 3,223,224,292 | ||
제품매출 | 2,651,932,878 | 2,898,024,292 | ||
기타매출 (주석17) | 422,000,000 | 325,200,000 | ||
Ⅱ. 매출원가 | 2,011,569,599 | 2,725,304,297 | ||
제품매출원가 | 2,011,569,599 | 2,725,304,297 | ||
기초제품재고액 | - | - | ||
당기제품제조원가 | 2,011,908,359 | 2,725,943,277 | ||
관세환급금 | (338,760) | (638,980) | ||
기말제품재고액 | - | - | ||
Ⅲ. 매출총이익 | 1,062,363,279 | 497,919,995 | ||
Ⅳ. 판매비와관리비 (주석10) | 1,380,776,746 | 1,803,848,175 | ||
급여 (주석10) | 499,270,926 | 487,046,008 | ||
퇴직급여 (주석10) | 61,936,330 | 76,241,308 | ||
복리후생비 (주석10) | 97,381,723 | 85,808,614 | ||
여비교통비 | 32,395,031 | 22,094,692 | ||
접대비 | 11,432,860 | 25,666,230 | ||
통신비 | 5,713,108 | 4,382,587 | ||
수도광열비 | 6,204,000 | 5,852,900 | ||
세금과공과금 (주석10) | 24,916,210 | 51,486,258 | ||
감가상각비 (주석4,10) | 3,487,188 | 15,616,108 | ||
지급임차료 (주석10) | 82,875,276 | 81,075,276 | ||
보험료 | 10,084,216 | 11,045,675 | ||
차량유지비 | 18,630,084 | 32,510,041 | ||
경상연구개발비 (주석10) | 196,321,412 | 226,854,595 | ||
운반비 | 3,778,170 | 6,112,560 | ||
도서인쇄비 | 720,000 | 660,000 | ||
소모품비 | 8,421,634 | 7,674,982 | ||
지급수수료 | 130,754,579 | 132,380,879 | ||
광고선전비 | 19,178,736 | 16,057,675 | ||
대손상각비 | 104,737,350 | 454,439,626 | ||
건물관리비 | 19,240,553 | 17,639,188 | ||
수출제비용 | 42,455,020 | 42,360,633 | ||
무형상각비 (주석5,10) | 842,340 | 842,340 | ||
Ⅴ. 영업이익(손실) | (318,413,467) | (1,305,928,180) | ||
Ⅵ. 영업외수익 | 124,694,997 | 116,661,117 | ||
이자수익 | 13,454,526 | 13,102,110 | ||
외환차익 | 12,111,412 | 2,551,354 | ||
외화환산이익 | 9,192,166 | 57,885,461 | ||
유형자산처분이익 | 18,180,818 | 2,817,182 | ||
잡이익 | 71,756,075 | 40,305,010 | ||
Ⅶ. 영업외비용 | 257,963,123 | 140,872,996 | ||
이자비용 | 246,915,096 | 138,852,575 | ||
외환차손 | 7,771,822 | 1,942,071 | ||
외화환산손실 | 681 | - | ||
잡손실 | 3,275,524 | 78,350 | ||
Ⅷ.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451,681,593) | (1,330,140,059) | ||
Ⅸ. 법인세등 (주석11) | - | - | ||
Ⅹ. 당기순이익(손실) (주석14) | (451,681,593) | (1,330,140,059)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어마어마한 아이템이었는데 손익이 아쉽네요
제 25(당)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4(전)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디엠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자 본 금자 본잉여금자 본조 정이 익잉여금총 계
2021.1.1(전기초) | 6,537,045,000 | 35,241,893 | (957,168,000) | 361,498,532 | 5,976,617,425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1,330,140,059) | (1,330,140,059) |
2021.12.31(전기말) | 6,537,045,000 | 35,241,893 | (957,168,000) | (968,641,527) | 4,646,477,366 |
2022.1.1(당기초) | 6,537,045,000 | 35,241,893 | (957,168,000) | (968,641,527) | 4,646,477,366 |
무상감자 | (5,883,340,500) | 5,883,340,500 | - | -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451,681,593) | (451,681,593) |
2022.12.31(당기말) | 653,704,500 | 5,918,582,393 | (957,168,000) | (1,420,323,120) | 4,194,795,773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68억의 단기차입금...... 뭘까요??
제 25(당)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4(전)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디엠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제 25(당) 기제 24(전)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37,300,231 | 10,492,570 | ||
(1) 당기순이익 | (451,681,593) | (1,330,140,059) | ||
(2) 현금의유출이없는비용등의가산 | 381,277,083 | 808,566,298 | ||
대손상각비 | 104,737,350 | 454,439,626 | ||
감가상각비 | 221,908,552 | 235,845,944 | ||
무형자산상각비 | 842,340 | 842,340 | ||
퇴직급여 | 53,788,841 | 117,438,388 | ||
(3) 현금의유입이없는수익등의차감 | (40,761,492) | (69,357,938) | ||
유형자산처분이익 | 18,180,818 | 2,817,182 | ||
이자수익 | 13,403,363 | 8,785,493 | ||
외화환산이익 | 9,177,311 | 57,755,263 | ||
(4)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부채의변동 | 248,466,233 | 601,424,269 | ||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 314,431,755 | (88,307,765) | ||
미수금의 감소(증가) | - | 1,967,020 | ||
선급금의 감소(증가) | 312,000 | 3,666,000 | ||
선급비용의 감소(증가) | 3,078,182 | (11,406,669) | ||
당기법인세자산의 감소(증가) | 19,840 | 34,250 | ||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163,017,787) | 437,949,896 | ||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 (175,825,790) | 178,701,419 | ||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 (55,391,017) | 79,276,579 | ||
예수금의 증가(감소) | (3,700,974) | 7,376,320 | ||
부가세예수금의 증가(감소) | 10,626,443 | 26,851,942 | ||
선수금의 증가(감소) | (46,016,079) | 49,847,073 | ||
임대보증금의 증가(감소) | 400,000,000 | - | ||
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 15,970,071 | (522,456) | ||
퇴직금의 지급 | (5,628,531) | (8,236,968) | ||
퇴직연금운용자산의 증가 | (46,391,880) | (75,772,372)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99,932) | (34,437,545) | ||
(1)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 18,181,818 | 2,818,182 | ||
차량운반구의 처분 | 18,181,818 | 2,818,182 | ||
(2)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 (20,581,750) | (37,255,727) |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20,581,750 | 35,283,000 | ||
비품의 취득 | - | 1,972,727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00,000,000) | - | ||
(1)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 - | - | ||
(2)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 (200,000,000) | -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200,000,000 | - | ||
Ⅳ. 현금의 증가(감소)(Ⅰ+Ⅱ+Ⅲ) | (65,099,701) | (23,944,975) | ||
Ⅴ. 기초의 현금 | 150,130,103 | 174,075,078 | ||
Ⅵ. 기말의 현금 | 85,030,402 | 150,130,103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제 25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4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디엠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1. 회사의 개요
디엠디스플레이 주식회사(이하 "회사")는 1998년 3월 14일에 설립되었으며,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에 본사 및 제조공장을 두고 액정화면 제조 및 도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00년 7월 12일로 회사의 상호를 주식회사 디디테크에서 주식회사 디엠디스플레이로 변경하였으며, 2008년 3월 26일자에 회사명을 디엠디스플레이주식회사로 최종 변경하였습니다.
회사의 설립시 자본금은 300,000천원이었으나 설립이후 수차례의 유ㆍ무상증자를 거쳐 당기말 현재의 납입자본금은 653,705천원(수권주식수: 50,000,000주, 발행주식수: 1,307,409주, 1주당 금액: 500원)입니다.
당기말 현재 회사의 대표이사는 임민철이며, 주요 주주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보통주식수(주)액면금액(천원)지분율
임재운 | 654,905 | 327,453 | 50.09% |
(주)블루래빗 | 146,000 | 73,000 | 11.17% |
임민철 | 103,460 | 51,730 | 7.91% |
임민영 | 20,000 | 10,000 | 1.53% |
롯데손해보험(주) | 18,000 | 9,000 | 1.38% |
기타 | 245,398 | 122,699 | 18.77% |
자기주식 | 119,646 | 59,823 | 9.15% |
합계 | 1,307,409 | 653,705 | 100.00% |
회사의 정관에 의하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각각 5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발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당기말 현재 이러한 조건으로 발행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없습니다.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유의적인 회계정책
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가 2022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신규로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기업회계기준 '시행일 및 경과규정'의 개정 (2022.12.21)
일반기업회계기준 연차개선(2018년)에 따르면 기업은 지배력을 보유한 모든 피투자기업을 종속기업으로 회계처리해야 합니다. 다만, 시행일 및 경과규정의 개정에 따라대형비상장주식회사, 상장법인, 금융회사 등에 해당하지 않는 지배기업과 연결실체에 이러한 기업이 포함되지 않은 지배기업은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조에 따른 외부감사 대상이 아닌 기업(이하 "비외감 기업")을 종속기업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동 개정 내용은 2022년 12월 31일부터 시행하고, 시행일에 종료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2027년 12월 31일이 속하는 회계연도까지 효력이 있습니다. 해당 기준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 '제17장 ‘정부보조금의 회계처리’ - 수익관련보조금의 표시
수익관련보조금의 표시를 수익 또는 관련 비용 차감 중 실질에 맞게 선택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제3장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 II(금융업)‘- 고객 예수금의 현금흐름표 분류
자금의 중개를 통한 수익 창출이 주요 영업활동인 금융업 회사의 경우 고객 예수금의현금흐름을 재무활동에서 영업활동으로 변경하도록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3 현금및현금성자산
회사는 통화 및 타인발행수표 등 통화대용증권과 당좌예금, 보통예금 및 큰 거래비용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금융상품으로서 취득 당시 만기일(또는 상환일)이 3개월 이내인 것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4 유가증권
① 금융상품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는 회사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가 아닌 경우 당해 금융자산(금융부채)의 취득(발행)과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차감)하고 있습니다.
최초 인식 후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는 유가증권, 파생상품 및 당기손익인식지정 항목을 제외하고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상 발생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지를 매 보고기간말에 평가하고, 그러한 증거가 있는 경우, 그러한 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의 인식, 측정 및 환입은 아래 유가증권의 손상에 대한 회계정책을 준용하여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한편, 유가증권을 제외한 회수가 불확실한 금융자산은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산출한 대손추산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유가증권을 제외한 금융자산의 양도의 경우에, 회사가 금융자산 양도후 양도자산에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없고, 양도후에 효율적인 통제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양수인이 양수한 금융자산을 처분할 자유로운 권리가 있을 때에 한하여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으며, 이외의 경우에는 금융자산을 담보로 한 차입거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② 유가증권
종속기업, 지분법피투자기업, 조인트벤처에 대한 투자를 제외한 지분증권과 채무증권에 대해서 취득하는 시점에 만기보유증권, 매도가능증권, 단기매매증권으로 분류하고 매 보고기간말마다 분류의 적정성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만기가 확정된 채무증권으로서 상환금액이 확정되었거나 확정이 가능한 채무증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와 능력이 있는 경우에는 만기보유증권으로, 주로 단기간 내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취득한 유가증권은 단기매매증권으로, 그리고 단기매매증권이나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되지 아니하는 유가증권은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후속 측정시 만기보유증권을 상각후원가로 평가하고, 만기보유증권의 만기액면금액과 취득원가의 차이를 상환기간에 걸쳐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상각하여 취득원가와 이자수익에 가감하고 있습니다. 단기매매증권과 매도가능증권은 공정가치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매도가능증권 중 시장성이 없는 지분증권의 공정가치를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취득원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시장성있는 유가증권의 평가는 시장가격을 공정가치로 보며 시장가격은 보고기간말 현재의 종가로하고 있습니다. 시장가격이 없는 채무증권의 경우에는 미래현금흐름을합리적으로 추정하고, 공신력 있는 독립된 신용평가기관이 평가한 신용등급이 있는 경우에는 신용평가등급을 적절히 감안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평가한 금액을 공정가치로 하고 있습니다. 한편, 시장성이 없는 수익증권의 경우에는 펀드운용회사가 제시하는 수익증권의 매매기준가격을 공정가치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단기매매증권의 미실현보유손익을 당기손익항목으로 처리하고, 매도가능증권의 미실현보유손익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당해 매도가능증권을 처분하거나 손상차손을 인식하는 시점에 일괄하여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손상차손의 발생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지 매 보고기간말마다 평가하여 유가증권의 회수가능액이 채무증권의 상각후원가 또는 지분증권의 취득원가보다 작은 경우에는 손상차손이 불필요하다는 명백한 반증이 없는 한 손상차손을 인식하여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의 회복이 손상차손 인식 후에 발생한 사건과 객관적으로 관련되는 경우, 만기보유증권 또는 원가로 평가하는 매도가능증권의 경우 당초에 손상차손을 인식하지 않았다면 회복일 현재의 상각후원가(매도가능증권의 경우 취득원가)를 한도로 당기이익을 인식하며,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매도가능증권의 경우에는 이전에 인식하였던 손상차손 금액을 한도로 하여 회복된 금액을 당기이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가증권의 양도로 회사가 유가증권의 통제를 상실한 때에는 그 유가증권을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나, 통제를 상실하지 않았을 경우 당해 거래를 담보차입거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단기매매증권과 보고기간말로부터 1년 내에 만기가 도래하거나 매도 등에 의하여 처분할 것이 거의 확실한 매도가능증권과 보고기간말로부터 1년 내에 만기가 도래하는만기보유증권은 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5 대손충당금
회사는 회수가 불확실한 매출채권 등은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산출한 대손추산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대손추산액에서 대손충당금 잔액을 차감한 금액을 대손상각비로 인식하며, 상거래에서 발생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상각비는 판매비와 관리비로 계상하고, 기타 채권에 대한 대손상각비는 영업외비용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회수가 불가능한 채권은 대손충당금과 상계하고, 대손충당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그 부족액을 대손상각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6 재고자산
회사의 재고자산의 수량은 계속기록법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실지재고조사에 의하여 확정되며, 총평균법을 적용하여 산정한 원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 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시가(제품 및 재공품의 시가는 순실현가능가치, 원재료의 시가는 현행대체원가)를 재무상태표가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재고자산의 평가손실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되어 새로운 시가가 장부금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고 있으며,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2.7 유형자산
회사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산정시, 당해 자산의 제작원가 또는 구입원가 및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를 가산하고 있습니다. 현물출자, 증여, 기타 무상으로 취득한 자산의 가액은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하고, 동일한 업종 내에서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고 공정가치가 비슷한 동종자산과의 교환으로 받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교환으로 제공한 자산의 장부금액으로 인식합니다. 한편, 다른 종류의 자산과의 교환으로 취득한 자산의취득원가는 교환을 위하여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교환으로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 유형자산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에 대하여 아래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구 분추정내용연수
건 물 | 20년 |
구축물 | 5년 |
기계장치 | 5년 |
차량운반구 | 5년 |
공구와기구 | 5년 |
비품 | 5년 |
유형자산의 취득 또는 완성 후의 지출이 생산능력 증대, 내용연수 연장, 상당한 원가절감 또는 품질향상을 가져오는 등 미래경제적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고,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자본적 지출로 인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8 무형자산
무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구입원가와 자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데 직접 관련된 지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무형자산을 취득원가에서 아래의 추정내용연수와 상각방법에 따라 산정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구 분추정내용연수상각방법
소프트웨어 | 10년 | 정액법 |
2.9 종업원급여
(1)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회사는 임직원 퇴직금지급규정에 따라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1년이상 근속한 전 임직원이 일시에 퇴직할 경우에 지급하여야 할 퇴직금 총 추계액을 퇴직급여충당부채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회사는 종업원의 수급권을 보장하는 퇴직연금을 신한은행에 가입하고 있으며,납입보험료는 퇴직연금운용자산의 과목으로 하여 퇴직급여충당부채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퇴직급여충당부채를 초과하는 분에 대해서 투자자산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2) 연차수당부채
회사는 종업원이 미래의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권리를 발생시키는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에 연차유급휴가와 관련된 비용과 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종업원의 미사용 연차에 대하여 보상을 하므로 근무용역의 제공으로 발생하는 연차유급휴가 전체에 대하여 비용과 부채를 인식합니다.
2.10 수익
회사는 재화의 판매, 용역의 제공이나 자산의 사용에 대하여 받았거나 또는 받을 대가의 공정가치로 수익을 측정하고 있으며, 부가가치세, 매출에누리와 할인 및 환입은수익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수익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으며 관련된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재화의 판매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은 재화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이 구매자에게 이전되고,판매한 재화에 대하여 소유권이 있을 때 통상적으로 행사하는 정도의 관리나 효과적인 통제를 할 수 없으며, 수익금액 및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했거나 발생할 거래원가와 관련 비용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고,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매우 높을 때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이자수익
이자수익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채권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채권금액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까지 손상차손을 인식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부분은 이자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손상채권에 대한 이자수익은 최초 유효이자율에 의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2.11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측정
(1) 최초측정
회사는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최초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으며, 이 때의 공정가치는 일반적으로 거래가격(금융자산의 경우에는 제공한 대가의 공정가치, 금융부채의 경우에는 수취한 대가의 공정가치)입니다. 그러나 장기연불조건의 매매거래, 장기금전대차거래 또는 이와 유사한 거래에서 발생하는 채권ㆍ채무로서 명목금액과 공정가치의 차이가 유의적인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평가합니다.
제공(수취)한 대가에 금융상품이 아닌 다른 것에 대한 대가가 포함되었다면 그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시장가격으로 평가하되, 시장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평가기법(현재가치평가기법을 포함)을 사용하여 공정가치를 추정합니다. 다만, 제공하거나 수취한 대가에 금융상품이 아닌 다른 것에 대한 대가가 포함되었더라도, 자금의 사용에 따른 반대 급부(예를 들어 생산물 공급가액의 제약 등)를 부과하거나 제공하는 자금의 조달과 사용의 연계성이 확실한 경우 및 임대차보증금에 대하여는 거래가격 전체를 금융상품의 최초인식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단기매매증권, 파생상품(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에서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는 경우는 제외) 같이 최초 인식 이후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가 아닌 경우에는 당해 금융자산의 취득 또는 금융부채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거래원가를 최초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 또는 차감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금융상품의 현재가치 측정시에 당해 거래의 내재이자율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이자율을 구할 수 없거나 동종시장이자율과의 차이가 유의적인 경우에는 동종시장이자율을 적용하고, 동종시장이자율을 실무적으로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의하여 산출한 가중평균이자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가중평균이자율을 산출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이 없는 경우에는 회사채 유통수익률을 기초로 회사의 신용도 등을 반영하여 회사에 적용될 자금조달비용을 합리적으로 추정하여 적용합니다.
(2) 후속측정
회사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 대하여 유가증권(주석2.4)을 제외하고는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지정항목의 후속측정은 단기매매증권의 후속측정방법을 준용하고 있습니다(주석2.4).
2.12 법인세비용
회사는 일반기업회계기준 제31장(중소기업 회계처리 특례)에 따라 법인세비용은 법인세법등의 법령에 의하여 납부하여야 할 금액으로 하고 있으며, 이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과 법인세비용은 법인세차감전순손익과 법인세등의 계정과목으로 각각 기재하고 있습니다.
2.13 외화환산
① 기능통화 및 표시통화
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② 외화거래와 보고기간 말의 외화환산
회사는 기능통화 이외의 다른 통화("외화")로 이루어진 거래를 기능통화로 인식하는경우에 거래일의 외화와 기능통화 사이의 현물환율을 외화금액에 적용하여 기록하고있으며, 화폐성 외화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종료일 현재의 환율로 환산하여 이로 인한 외화환산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요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에 대한 위험회피금액과 외화표시 매도가능채무증권의 경우 동 금액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외화로 대가를 선지급하거나 선수취하여 인식한 비화폐성자산이나 비화폐성부채를제거하면서 관련 자산, 비용, 수익 또는 이들 항목의 일부를 인식할 때에는, 그 비화폐성자산이나 비화폐성부채를 인식한 날을 거래일로 보고 그 날의 환율을 적용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보고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으로, 매도가능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에 대한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2.14 추정의 사용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 회사는 자산 및 부채의 금액, 충당부채 등에 대한 공시, 수익 및 비용의 측정과 관련하여 많은 합리적인 추정과 가정을 사용합니다. 여기에는 유형자산의 장부금액, 매출채권,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평가금액은 실제와 다를 수 있으며 차기에 유의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15 중소기업 회계처리 특례
회사는 중소기업기본법 상의 중소기업에 해당하며,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는 일반기업회계기준 제31장 "중소기업회계처리 특례"에 따라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항 목특 례 내 역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 내용연수 및 잔존가치 결정시 법인세법 규정에 따름 |
현재가치평가 | 장기연불조건의 매매거래 및 장기금전대차거래 등에서 발생하는채권ㆍ채무는 현재가치가 아닌 명목가치로 평가 |
법인세비용 | 법인세비용은 법인세법 등의 법령에 의하여 납부하여야 할 금액으로 계상 |
3. 사용이 제한된 금융상품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과 금융상품 중 사용이 제한된 내역은 없습니다.
4. 유형자산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유형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기말
(단위: 천원) |
구 분취득원가감가상각누계액장부금액
토지 | 8,954,557 | - | 8,954,557 |
건물 | 4,009,158 | (2,069,688) | 1,939,470 |
구축물 | 37,500 | (35,469) | 2,031 |
기계장치 | 1,165,220 | (1,156,272) | 8,948 |
차량운반구 | 144,464 | (144,461) | 3 |
공구와기구 | 20,409 | (20,402) | 7 |
비품 | 133,400 | (125,909) | 7,491 |
합 계 | 14,464,708 | (3,552,201) | 10,912,507 |
2)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취득원가감가상각누계액장부금액
토지 | 8,954,557 | - | 8,954,557 |
건물 | 4,009,158 | (1,869,230) | 2,139,928 |
구축물 | 37,500 | (33,949) | 3,551 |
기계장치 | 1,165,220 | (1,140,376) | 24,844 |
차량운반구 | 205,826 | (205,822) | 4 |
공구와기구 | 20,409 | (20,402) | 7 |
비품 | 133,400 | (121,874) | 11,526 |
합 계 | 14,526,070 | (3,391,653) | 11,134,417 |
(2)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유형자산의 장부가액 변동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기
(단위: 천원) |
과 목기초금액취 득처분 및 폐기감가상각비기말금액
토지 | 8,954,557 | - | - | - | 8,954,557 |
건물 | 2,139,928 | - | - | (200,458) | 1,939,470 |
구축물 | 3,551 | - | - | (1,520) | 2,031 |
기계장치 | 24,844 | - | - | (15,896) | 8,948 |
차량운반구(*) | 4 | - | (1) | - | 3 |
공구와기구 | 7 | - | - | - | 7 |
비품 | 11,526 | - | - | (4,035) | 7,491 |
합 계 | 11,134,417 | - | (1) | (221,909) | 10,912,507 |
2) 전기
(단위: 천원) |
과 목기초금액취 득처분 및 폐기감가상각비기말금액
토지 | 8,954,557 | - | - | - | 8,954,557 |
건물 | 2,340,386 | - | - | (200,458) | 2,139,928 |
구축물 | 5,071 | - | - | (1,520) | 3,551 |
기계장치 | 42,075 | - | - | (17,231) | 24,844 |
차량운반구(*) | 11,914 | - | (1) | (11,909) | 4 |
공구와기구 | 353 | - | - | (346) | 7 |
비품 | 13,935 | 1,973 | - | (4,382) | 11,526 |
합 계 | 11,368,291 | 1,973 | (1) | (235,846) | 11,134,417 |
(*)회사는 현대해상과 삼성화재해상보험 등에 차량운반구에 대한 자동차책임보험 및 상해보험을 가입하고 있습니다.
(3)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회사가 보유한 토지의 공시지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면적(㎡)장부가액공시지가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 7,837.10 | 4,798,754 | 8,855,923 |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 346.9 | 4,155,803 | 5,255,535 |
합 계 | 8,184.00 | 8,954,557 | 14,111,458 |
(4) 회사가 담보로 제공한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담보제공처자산명장부가액채권최고액제공사유
신한은행 | 토 지 | 4,798,754 | 8,400,000 | 회사 차입금관련 담보제공 |
건 물 | 1,939,470 | |||
토 지 | 4,155,803 | 8,900,000 | 대표이사 차입금 관련 담보제공 |
(5)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보험가입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계정과목보험의종류부보금액(*)보험회사
재고자산 | 화재보험 | 100,000 | KB손해보험 |
건 물 | 5,320,000 | ||
기계장치등 | 2,010,000 | ||
합 계 | 7,430,000 |
(*)상기 보험가입금액은 회사의 차입금과 관련하여 신한은행에 40억원의 질권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5. 무형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회사의 무형자산의 장부금액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계정과목당기말전기말취득원가상각누계액장부금액취득원가상각누계액장부금액
소프트웨어 | 8,423 | (6,782) | 1,641 | 8,423 | (5,941) | 2,483 |
(2) 당기 및 전기 중 회사의 무형자산의 장부금액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기 초증 가무형자산상각비기 말
소프트웨어 | 2,483 | - | (842) | 1,641 |
2)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기 초증 가무형자산상각비기 말
소프트웨어 | 3,325 | - | (842) | 2,483 |
상기 무형자산 상각금액은 전액 판매비와관리비에 계상되었습니다.
6. 차입금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단기차입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차입처이자율(%)당기말전기말
시설자금대출 | 신한은행 | 4.29 | 2,000,000 | 2,000,000 |
운전자금대출 | 5.13 | 2,800,000 | 3,000,000 | |
운전자금대출 | 5.62 | 1,000,000 | 1,000,000 | |
운전자금대출 | 5.67 | 1,000,000 | 1,000,000 | |
합 계 | 6,800,000 | 7,000,000 |
(2) 회사는 신한은행 차입금과 관련하여 회사의 토지와 건물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4참조).
7. 유동성위험
회사는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유동성위험을 대비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회사의 자금조달 및 출자계획,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및 외부법규나 법률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상기에서 언급한 예측을 통해 결정된 대로 여유있는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절한 만기나 충분한 유동성을 제공해주는 이자부 당좌예금, 정기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등의 금융상품을 선택하여 잉여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장부금액6개월이내6~12개월1~2년
매입채무 | 117,720 | 117,720 | - | - |
미지급금 | 140,686 | 140,686 | - | - |
단기차입금 | 6,800,000 | 3,000,000 | 3,800,000 | - |
미지급비용 | 77,875 | 77,875 | - | - |
합 계 | 7,136,281 | 3,336,281 | 3,800,000 | - |
8. 화폐성 외화자산과 외화부채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회사의 화폐성 외화자산과 외화부채의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계정과목당기전기외 화원화환산액외 화원화환산액
현금및현금성자산 | USD 734 | 930 | USD 1,265 | 1,500 |
EUR 1,667 | 2,253 | EUR 1,667 | 2,238 | |
매출채권 | USD 90,168 | 114,270 | USD 616,947 | 731,391 |
EUR 224 | 303 | EUR 224 | 301 | |
외화자산합계 | USD 90,902 | 117,756 | USD 618,212 | 735,430 |
EUR 1,891 | EUR 1,891 | |||
매입채무 | USD 25,583 | 32,421 | - | - |
외화부채 합계 | USD 25,583 | 32,421 | - | - |
9. 퇴직급여충당부채
(1) 당기 및 전기 중 퇴직급여충당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기전기
기초금액 | 652,525 | 543,324 |
당기설정액 | 53,789 | 117,438 |
퇴직금지급액 | (5,629) | (8,237) |
기말금액 | 700,685 | 652,525 |
(2) 당기 및 전기 중 퇴직연금운용자산의 공정가치 및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기전기
기초금액 | 450,767 | 374,995 |
불 입 | 52,021 | 79,851 |
퇴직금의지급 | (5,629) | (8,237) |
이자수익 | 5,515 | 4,158 |
기말금액 | 502,674 | 450,767 |
10. 부가가치 계산에 필요한 항목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부가가치 계산에 필요한 계정과목과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당기전기판매비와관리비제조원가합 계판매비와관리비제조원가합 계
급 여 | 686,102 | 407,185 | 1,093,287 | 681,655 | 425,704 | 1,107,359 |
퇴직급여 | 61,936 | (8,147) | 53,789 | 76,241 | 41,197 | 117,438 |
복리후생비 | 97,382 | 64,084 | 161,466 | 85,809 | 49,436 | 135,245 |
지급임차료 | 82,875 | 1,680 | 84,555 | 81,075 | 1,680 | 82,755 |
감가상각비 | 3,487 | 218,421 | 221,908 | 15,616 | 220,230 | 235,846 |
무형자산상각비 | 842 | - | 842 | 842 | - | 842 |
세금과공과 | 24,916 | 51,915 | 76,831 | 51,486 | 21,055 | 72,541 |
합 계 | 957,540 | 735,138 | 1,692,678 | 992,724 | 759,302 | 1,752,026 |
11. 법인세비용
(1) 회사의 법인세(주민세포함)법정세율은 약 22%이나 당기 및 전기 세무상 과세표준이 없으므로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대한 기업회계상 법인세비용의 유효세율은 산정하지 않았습니다.
(2) 회사는 일반기업회계기준 제31장에 규정된 중소기업법에 의한 중소기업으로 중소기업의 회계처리에 대한 특례규정을 적용하여 법인세비용은 법인세법 등의 법령에의하여 납부할 금액을 법인세비용으로 계상하고 법인세등의 과목으로 하여 손익계산서에 기재하였으며, 당기 이연법인세 변동액을 가감하지 아니하였습니다.
12. 자본금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자본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당기말전기말
수권주식수 | 50,000,000주 | 50,000,000주 |
1주의금액 | 500원 | 500원 |
발행주식수 | 1,307,409주 | 13,074,090주 |
납입자본금(*) | 653,704,500원 | 6,537,045,000원 |
(*) 당기 중 보통주 10주를 보통주 1주로 무상병합(자본감소 효력발생일 2022년 5월 2일) |
13. 결손금처리계산서
회사의 당기 및 전기 결손금처리(이익잉여금)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제 25(당) 기(처리예정일: 2023년 3월 20일)제 24(전) 기(처분확정일: 2022년 3월 29일)
Ⅰ. 미처리결손금(이익잉여금) | 1,420,323,120 | 968,641,527 | ||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이익잉여금) | 968,641,527 | (361,498,532) | ||
2. 당기순손실 | 451,681,593 | 1,330,140,059 | ||
Ⅱ. 결손금처리액 | - | -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이익잉여금) | 1,420,323,120 | 968,641,527 |
14. 주당손익
기본주당손익은 보통주당기순익을 자기주식으로 보유하고 있는 보통주를 제외한 당기의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습니다. 한편, 회사는 희석증권을 발행하지 않았으므로 기본주당손익과 희석주당손익은 동일합니다.
당기 및 전기의 기본주당순손익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
구 분당기전기
당기순이익(손실) | (451,681,593) | (1,330,140,059)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주) | 1,187,763 | 11,877,630 |
주당순이익(손실) | (380) | (112) |
15. 현금흐름표
회사는 현금흐름표상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를 간접법으로 작성하였으며,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유의적인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과 목당 기전 기
매출채권의 제각 | 618,610 | - |
16. 우발채무 및 약정사항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회사가 체결하고 있는 금융기관과의 약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금융기관명약정한도실행금액
시설일반자금대출 | 신한은행 | 2,000,000 | 2,000,000 |
기업운전자금대출 | 4,800,000 | 4,800,000 | |
합 계 | 6,800,000 | 6,800,000 |
(2)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회사의 담보제공자산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채권자담보제공자산보증설정액
신한은행 | 토지및건물 | 6,000,000 |
2,400,000 | ||
합계 | 8,400,000 |
(3)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회사가 타인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제공받는 자지급보증처제공한내역보증한도금액담보제공 자산
담보제공 | 최대주주 | 신한은행 | 최대주주 차입금 담보제공 |
8,900,000 | 토지 및 건물 |
(4)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회사는 서울보증보험㈜로부터 180백만원의 계약이행보증 등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17. 특수관계자거래
(1) 당기 및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특수관계자특수관계구분계정과목당기전기
㈜블루래빗 | 기타 | 기타매출 | 287,000 | 192,000 |
문공사 | 기타 | 기타매출 | 31,200 | 31,200 |
㈜재미북스 | 기타 | 기타매출 | 31,200 | 31,200 |
주요경영진 | 기타 | 기타매출 | 72,600 | 70,800 |
임차료등 | 84,400 | 81,093 |
(2)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및 채무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특수관계자특수관계구분계정과목당기전기
㈜블루래빗 | 기타 | 임대보증금 | 671,500 | 271,500 |
문공사 | 기타 | 미수금 | 26,000 | 26,000 |
임대보증금 | 26,000 | 26,000 | ||
㈜재미북스 | 기타 | 미수금 | 26,000 | 26,000 |
임대보증금 | 26,000 | 26,000 | ||
주요경영진 | 기타 | 임차보증금 | 100,000 | 100,000 |
(3) 당기 및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차입 및 대여)내역은 없습니다.
(4) 회사는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의 토지매입을 위한 최대주주 차입금과 관련하여 회사 소유의 토지(채권최고액 8,900백만원)를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블루래빗 등은 회사로부터 임대한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에 소재한 건물에 대하여 33억원(출판물)의 화재보험에 가입하고 있습니다.
18. 재무제표의 사실상 확정일 및 승인기관
회사의 2022년 12월 31일 현재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재무제표는 2023년 3월20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토지 건물은 튼튼히
The World No.1
Switchable Film & Glass Manufacturer
디엠디스플레이㈜는 전 세계 PDLC 시장의 Global Leader 로서 1998년 설립 이후 끊임없이 PDLC 필름 및 글라스(Smart Film and Smart Glass) 개발에 정진해왔습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과 다양한 종류의 PDLC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40개국 이상에 나라에 필름 혹은 글라스 형태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2년 PDLC 필름 코팅라인 증설을 통하여 PDLC 필름 제조 회사 중 가장 큰 양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여러 Global Company 들과 차량, 열차, 전자제품 등에의 적용과 관련하여 기 공급 및 공동개발 진행 중에 있습니다.

We all exercise agency in the choices we make.
-
오래된 PDLC 생산∙공급 경험을 바탕으로 한 높은 품질과 내구성
DM디스플레이는 단순한 인테리어 등의 사용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 및 정부와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열차, 전자제품 등 수년의 내구성 및 성능이 검증되어야 하는 프로젝트들에 기술 등의 우위를 바탕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일부 프로젝트는 공동개발 진행 중에 있습니다.
-
두 개의 PDLC 필름 코팅 라인을 통한 많은 생산량
DM디스플레이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두 개의 대형 PDLC 코팅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장 큰 연간 생산량이 보장되어 큰 규모의 양산 프로젝트들도 문제 없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
가장 다양한 종류의 PDLC 제품들
타 경쟁 업체들이 단순히 On/Off 만 되는 한가지 종류의 PDLC 필름만을 생산하는데 반해 이미 다른 색상, 기능, 사용 방식의 PDLC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들에 대해서는 고객과 함께 특수한 사양의 PDLC를 개발하고도 있습니다.
-
상대적으로 짧은 코팅스케줄을 통한 빠른 납기일
50여개가 넘는 해외대리점 및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내수 시장의 수요로 인해 빠른 Tunover의 PDLC 코팅스케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타 경쟁사 보다 빠른 납기일을 약속드립니다.
-
오래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더 나은 고객 서비스
16년 이상의 PDLC 분야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각도의 고객 서비스가 가능하며, 특히 단순히 PDLC 필름만 제조하는 것이 아닌 Smart Glass(PDLC Glass) 접합을 위한 접합 설비들을 자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고객 및 대리점, 파트너사들에게 기술적인 교육/지원도 가능합니다.
DMDisplay는 다양한 인증과 상을 받아, 기술력과 운영능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DMDisplay는 RoHS 준수를 포함한 ISO 9001 및 14001 인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에 의해 세계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업체로서 CEO 한국 기업들 협회가 최고의 기업가 상을 받았습니다.
Technology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은 고분자와 액정을 혼합하여 전기가 인가되지 않을 때는 액정 분자가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빛을 산란시켜 불투명하게 보이며, 전기가 인가될 때는 액정 분자가 전기 방향으로 정렬되어 빛을 통과시켜 투명하게 보이는 원리의 기술입니다.

Products Types
Smart Film스마트필름은 스마트글라스 제작에 사용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필름입니다. 기본적으로 ON(투명) / OFF(불투명) 전환 가 능하고 또한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후면주사방식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유리를 교체하기 힘든 경우 유리 위에 SF를 붙임으로써 동일하게 On/Off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두장의 유리가 접합된 접합유리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신축 혹은 리노베이션 되는 공간에 주로 사용됩니다.

PPT(PDLC Partition + 투명 OLED) 소개


매직글라스(PDLC)에 투명 OLED를 접목한 시스템입니다. 투명 OLED는 LG디스플레이에서 직접 제조한 제품입니다.
회의실 또는 주거공간의 파티션을 투명 불투명 전환이 가능하게 하여주며, 동시에 55인치의 투명 OLED 화면을 통하여 영상회의 또는 시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디엠디스플레이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