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SG 지속가능성 보고_ ESG 전문인력 양성 ESG 기초과정 _ ESG 연구원 신지영

by 비즈지니 2024. 9. 5.
반응형

지속가능성 보고

IIRC (International Integrated Reporting Council)

통합 보고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국제 기구로, 재무적 정보와 비재무적 정보를 통합하여 기업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함.

 6가지 자본: 재무적 자본, 제조 자본, 지적 자본, 인적 자본, 사회적 및 관계 자본, 자연 자본을 포함

 프레임워크 요소: 조직 개요와 외부 환경, 거버넌스, 비즈니스 모델, 위험과 기회, 전략과 자원 배분, 성과, 전망, 기반과 방법론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는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글로벌 표준을 제공

 GRI Standards: 환경, 사회, 경제적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보고 기준을 제공

 보고서 작성 지침: 중요성 평가, 이해관계자 참여, 지속 가능성 맥락, 완전성 등의 보고 원칙을 포함

 일반 공개: 조직의 프로필, 거버넌스 구조, 윤리와 청렴성 등을 포함한 기본 정보

Account Ability

글로벌 ESG 표준과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비영리 기구, 주로 AA1000 시리즈 표준을 통해 조직의 지속 가능성 성과를 평가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함

AA1000AP (AccountAbility Principles): 조직의 지속 가능성 관리에 필요한 기본 원칙을 제시. 포괄성, 실질성, 대응성, 영향력의 네 가지 원칙으로 구성

AA1000AS (Assurance Standard): 지속 가능성 보고서의 검증을 위한 표준을 제공. 조직이 보고한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

AA1000SES (Stakeholder Engagement Standard): 이해관계자 참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의사결정을 개선하는 데 중점

SASB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업별로 구체적인 지속 가능성 회계 기준을 제공하는 기구이며, SASB 기준은 투자자와 기타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재무적 영향을 미치는 지속 가능성 정보를 보고하는 사용

산업별 기준: 77개 산업별로 중요한 지속 가능성 주제를 다룸

재무적 관련성: 각 주제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

측정 지표: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지표를 통해 지속 가능성 성과를 보고할 수 있도록

TCFD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 관련 재무 공개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이해관계자가 이를 평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함.

거버넌스: 기후 관련 리스크와 기회의 관리 구조를 설명

전략: 기후 변화가 비즈니스, 전략, 재무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위험 관리: 기후 관련 리스크를 식별, 평가,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

지표와 목표: 기후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와 목표를 공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