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항공사별 SAF 도입시기 및 비율

by 비즈지니 2024. 12. 9.
반응형

델타항공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사용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연간 7천만 갤런의 SAF 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는 2019년 기준 연간 총 연료 소비량의 약 1.7%에 해당합니다.

중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화석 연료 기반 항공유의 10%를 SAF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SAF의 공급은 제한적이며, 전 세계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델타항공의 최고 지속가능경영 책임자인 아멜리아 델루카는 "지속가능항공유는 항공의 탈탄소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지만, 현재는 전 세계의 수요를 일주일조차 감당할 수 없을 만큼 공급이 여의치 않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델타항공은 SAF의 사용 및 개발 촉진을 위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에는 인터파크트리플과 SAF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맺어, SAF의 사용 및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델타항공은 SAF 사용 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10%의 SAF 사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메리칸 항공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사용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 SAF 사용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미국 정부는 SAF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SAF 생산 및 사용에 대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과 항공사들의 노력으로 SAF 사용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아메리칸 항공의 SAF 사용 비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사용을 통해 탄소 배출 저감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SAF의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전체 연료 사용량 중 SAF의 비율은 약 0.1%에 불과합니다.

유나이티드항공의 SAF 사용 현황:

  • SAF 사용 비율: 전체 연료 사용량의 약 0.1%
  • 탄소 배출 저감 효과: SAF는 일반 항공유 대비 수명 주기 동안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85%까지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SAF 사용 확대를 위한 노력:

  • Eco-Skies Alliance 프로그램: 2021년부터 기업 고객과 협력하여 SAF 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 조달: 2024년 7월부터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등 주요 공항에서 SAF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계획:

유나이티드항공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 순제로(Net Zero)를 달성하기 위해 SAF 사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SAF 생산업체와의 파트너십 강화, 정부의 세제 혜택 활용 등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SAF의 공급이 제한적이지만, 유나이티드항공은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의 사용을 늘려 항공 산업의 탈탄소화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루프트한자 그룹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도입과 사용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SAF 도입 및 사용 현황:

  • 초기 도입: 루프트한자 그룹은 2011년부터 SAF를 도입하여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2022년 사용량: 2022년에는 약 13,000톤의 SAF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그룹 전체 연료 수요의 약 0.2%에 해당합니다.
  • Lufthansa

향후 계획 및 목표:

  • 단기 목표: 2025년부터 유럽연합(EU)의 규제에 따라 유럽발 항공편 연료의 최소 2%를 SAF로 혼합할 예정입니다.
  • Cargopress
  • 중장기 목표: 2030년까지 SAF 혼합 비율을 6%로, 2050년까지는 7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한경닷컴
  • 탄소 중립 목표: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이산화탄소 순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Cargopress

추진 활동:

  • 파트너십 체결: 2024년 11월에는 머스크(Maersk)와 SAF 사용 협약을 체결하여, 2024년 말까지 400톤의 SAF를 사용하고 약 1,20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Cargopress
  • 고객 참여 프로그램: 2023년에는 인터파크트리플과 SAF 이용에 관한 업무 협약을 맺어, 고객이 SAF 구매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이메일.com

루프트한자 그룹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항공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글로벌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도입과 사용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SAF 도입 시기 및 주요 활동:

  • 2022년: 미국 에너지부(DOE)의 지원을 받는 SAFFiRE Renewables에 첫 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 Seneca ESG
  • 2023년 3월: SAFFiRE Renewables를 인수하여 SAF 개발 및 생산 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
  • Investing.com
  • 2023년 4월: SAFFiRE는 농업 잔재물인 옥수수 찌꺼기를 재생 가능한 에탄올로 전환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SAF 생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Seneca ESG

SAF 사용 비율 및 목표:

  • 현재 사용 비율: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미국 전체 항공유에서 SAF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0.1%로 알려져 있습니다.
  • ImpactOn
  • 2030년 목표: 전체 항공유의 10%를 SAF로 대체할 계획입니다.
  • 더구루
  • 2035년 목표: 탄소 배출량을 2019년 대비 50%까지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Seneca ESG

사우스웨스트항공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SAF 생산 기술 개발, 관련 기업 인수 및 투자, 정부와의 협력 등을 통해 SAF 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SAF의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국남방항공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도입과 사용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SAF 도입 시기:

  • 2024년 9월: 중국 민항국이 주도하는 SAF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중국남방항공은 베이징 다싱, 청두 솽류, 정저우 신정, 닝보 리서 공항에서 SAF를 주입한 항공편을 운항하기 시작했습니다.

SAF 사용 비율:

현재 중국남방항공의 SAF 사용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기존 항공유에 SAF 혼합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중국남방항공의 SAF 사용 비율도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진 활동 및 계획:

  • 시범 사업 참여: 중국남방항공은 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등과 함께 SAF 시범 사업에 참여하여, SAF 주입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습니다.
  • 이코노미데일리
  • 탄소 배출 저감 노력: SAF는 재생 가능 자원이나 폐기물을 원료로 만들어, 전 생애 주기에서의 탄소 배출 감소 효과가 뛰어납니다. 중국남방항공은 이러한 SAF의 특성을 활용하여 항공 부문의 탈탄소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KIEP CSF

중국남방항공은 SAF 사용을 통해 항공 부문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글로벌 환경 보호 노력에 동참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중국동방항공은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도입과 사용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SAF 도입 시기:

  • 2024년 9월: 중국 민항국(CAAC)이 주도하는 SAF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중국동방항공은 베이징 다싱, 청두 솽류, 정저우 신정, 닝보 리서 공항에서 SAF를 주입한 항공편을 운항하기 시작했습니다.

SAF 사용 비율:

현재 중국동방항공의 SAF 사용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기존 항공유에 SAF 혼합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중국동방항공의 SAF 사용 비율도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진 활동 및 계획:

  • 시범 사업 참여: 중국동방항공은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등과 함께 SAF 시범 사업에 참여하여, SAF 주입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습니다.
  • NBN News
  • 탄소 배출 저감 노력: SAF는 재생 가능 자원이나 폐기물을 원료로 만들어, 전 생애 주기에서의 탄소 배출 감소 효과가 뛰어납니다. 중국동방항공은 이러한 SAF의 특성을 활용하여 항공 부문의 탈탄소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KIEP CSF

중국동방항공은 SAF 사용을 통해 항공 부문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글로벌 환경 보호 노력에 동참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응형